들어가기전에 SSD(Solid State Drive)가 개발되기 이전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보조 저장 장치의 역할은 HDD(Hard Disk Drive)가 맡아왔다. SSD가 입출력 속도를 압도적으로 HDD를 누를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모두 대체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HDD는 물리적인 플래터의 회전 속도와 헤드의 움직임 필요 여부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크게 좌우되지만,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되는 플래시메모리, SSD와는 확연히 속도면에서 느림을 보인다. 하지만 윈도우는 주기억장치의 속도의 한계 때문에 운용속도 향상을 위해 관리 정책들을 구성해 왔는데, 그 과정에서 프리패치 개념도 생겼다. 플래터 방식의 HDD를 사용하면 프리패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