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
질문.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①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
② 비상조치계획수립
③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④ 경영자의 재정적 지원 확대
정답.


문제 2
질문.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서 하루 4시간 이상 지속되는 작업은 유해요인 조사 대상이다.
정답. O


문제 3
질문. 출퇴근 재해는 사업주 지배관리하의 출퇴근 재해와 통상의 출퇴근 재해로 구분한다.
정답. O


문제 4
질문. 통상의 출퇴근 재해 요건 중 주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보기.

  1. 친구의 집에서 영화를 보고 다음날 아침 그곳에서 직접 출근한 경우
  2. 노동자가 실질적으로 거주하면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주소
  3. 근무지 근처에 숙소를 별도로 마련하고 그 장소에서 상당기간 출퇴근을 하고 있거나 앞으로도 출퇴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 장소
  4. 근무 사정, 교통두절,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일시적으로 숙박하는 경우 그 장소
    정답. 1

문제 5
질문. 허혈성 뇌졸중의 주요 원인으로 알맞은 내용은?
보기.

  1. 뇌동맥의 파열
  2.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 손상
  3. 혈전이 혈관을 막음
  4. 뇌 내 출혈
    정답. 3

문제 6
질문. 근로자의 범죄행위로 인한 출퇴근 재해는 원칙적으로 업무상 재해로 인정될 수 없다.
정답. O


문제 7
질문. 근골격계 부담 작업의 유해 요인 조사 시, 작업자는 증상과 직업력뿐 아니라 취미 활동과 과거 질병력까지 포함해 상세히 조사해야 한다.
정답. O


문제 8
질문. 다음 중 심근경색의 증상이 아닌 것은?
보기.

  1. 흉통과 발한
  2. 오심과 호흡곤란
  3. 피부가 창백해짐
  4. 30분 이내에 사라지는 통증
    정답. 4

문제 9
질문. 다음 중 뇌졸중의 전조증상 파악 방법인 패스트(FAST)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보기.

  1. 활짝 웃었을 때 양 입꼬리가 비슷한 높이로 올라가지 않고 어느 한쪽 입꼬리가 처지지 않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2. 양팔을 들어서 한쪽 팔의 힘이 빠지거나 처지지 않는지를 봐야 한다.
  3. 같은 단어나 문장을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말했을 때 말이 잘 나오지 않거나 어눌하다면 뇌졸중을 의심해 봐야 한다.
  4. 이런 방법으로 스스로 점검해보고 한 가지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엔 일주일 뒤 병원으로 가야한다.
    정답. 4

문제 10
질문. 출근길에 자녀를 학교에 데려다 주고 이동 중 발생한 사고는 출퇴근 재해로 인정될 수 있다.
정답. O

반응형

+ Recent posts